제목 : 2025년 1~6월 글로벌[1] 전기차용 배터리 음극재 적재량[2] 593.8K ton, 전년 동기 대비 40.8% 성장
- 2025년 1~6월 중국 제외 시장 223.7K ton으로 25.1% 성장
(출처: 2025년
7월 Global EV & Battery Monthly
Tracker (Incl. LiB 4 Major Materials), SNE리서치)
업체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ShanShan(137.4K ton)과 BTR(110.5K ton)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음극재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들은 CATL, BYD,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에
공급하며 안정적인 고객 기반과 대규모 생산 역량을 동시에 확보한 것이 강점이다. 이외에도 Shangtai(62.2K ton), Kaijin(56.4K ton), Shinzoom(41.1K ton),
Zichen(40.4K ton) 등이 상위권에 포진하며, 전년 대비 40~70%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 두각을 나타냈다.
(출처: 2025년 7월 Global EV & Battery Monthly Tracker (Incl. LiB 4 Major Materials), SNE리서치)
법인 국적별 점유율을 보면, 중국
기업들이 전체 시장의 약 95%를 차지하며 절대적인 우위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생산능력 확대와 기술 고도화를 기반으로 시장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으며,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실리콘 복합 음극재(Si-Anode)의
채택이 증가하면서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과의 협력도 더욱 강화되는 추세다. 한국 기업들의 점유율은 2.8%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포스코와 대주전자재료를 중심으로
주요 셀 메이커와의 협업을 확대하며 시장 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 반면 일본 기업들은 2.3%의 점유율로 상대적으로 낮은 존재감을 보이고 있으며, Hitachi,
Mitsubishi 등은 기존 고객 기반에 의존한 보수적인 전략 기조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2025년 들어 글로벌 음극재 시장은 기존 흑연 기반 제품에 대한 안정적인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실리콘 복합 음극재의 상용화가 본격화되면서 본격적인 기술 전환 국면에 접어들었다. 중국 주요 기업들이 실리콘 음극재의 대량 생산체제를 구축하며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는 반면, 미국과 유럽은 중국산 흑연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공급망 재편과 소재 자립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현재 음극재 시장은 흑연 중심의 전통 수요가 유지되는 동시에, 실리콘과
리튬메탈 계열 차세대 소재의 상용화가 병행되는 이원화 구조로 재편되는 양상이다. 기술 전환의 속도와
원재료 확보 능력이 향후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지을 주요 요소로 부상하고 있으며, 고성능 전기차와 전고체
배터리 시대를 이끌 핵심 소재로서 실리콘 음극재의 중요성도 빠르게 커질 전망이다.
[2] 해당 기간 등록된 전기 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