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What we do

We aim to provide our clients with intelligence,
future-directed information and analysis.

Report purchase request

  • Sales team
  • 070-4006-0265 / 070-4006-1507 / 070-4006-0355

  • sales@sneresearch.com

Purchase inquiry
Battery

<2025> 중국 Leading 제조사 경쟁력 분석 보고서(CATL, BYD)  

 

지난 10년간 글로벌 배터리 산업은 전례 없는 속도로 재편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중국 기업들의 약진이 있었다.

과거 한국·일본이 주도하던 시장은 이제 CATL과 BYD를 필두로 한 중국 기업들이 기술·규모·가격·공급망의 모든 측면에서 주도권을 가져가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중국 배터리 산업의 성장 배경과 구조적 강점을 분석하고, 대표 기업인 CATL과 BYD의 전략, 기술, 공급망 등을 집중 분석하며, 한국 배터리 산업와의 경쟁 구도를 비교했다.

 

중국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은 ‘기술’보다 ‘구조’에서 비롯된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과 내수 중심의 대규모 시장, 그리고 원재료 확보부터 재활용까지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된 공급망 구조는 CATL과 BYD가 단기간에 세계 정상에 오를 수 있었던 결정적 요인이다.

특히 CATL은 기술 상용화 속도와 공급망 통제력에서 독보적인 경쟁우위를 보인다.

 

CTP(Cell-to-Pack)에서 Qilin, Shenxing에 이르는 혁신 기술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주기로 상용화하며, 리튬·니켈·코발트 등 핵심 광물을 직접 확보하고 재활용 체계를 갖추어

원가 안정성을 강화했다. 또한 해외 생산 거점 확대를 통해 지정학적 리스크와 운송비 부담을 줄이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BYD는 CATL과는 다른 방식으로 경쟁력을 구축해왔다. BYD는 완성차와 배터리를 동시에 보유한 세계 유일의 기업으로, 차량 설계 단계에서부터 배터리를 통합 개발할 수 있는 End-to-End Value Chain을 완성했다. Blade Battery를 중심으로 한 LFP 기술은 안전성과 비용 측면에서 절대적인 강점을 가지며, 자체 차량 브랜드(BYD Auto)를 기반으로 내수 시장을 압도적으로 장악하고 있다. 또한 FinDreams Battery 등 계열사 중심의 구조로 소재·셀·모듈·차량을 모두 자립시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CAPEX 효율을 극대화했다.

한편 한국 배터리 3사는 고에너지밀도 기술과 품질 신뢰성에서 여전히 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이 보여주는 생산 속도, 원가 경쟁력, 공급망 통합 능력 면에서는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한국이 기술 중심 전략이라면, 중국은 시장 속도 중심 전략을 택했다. 

 

CATL과 BYD는 이미 OEM·소재업체·정책기관·소비자까지 포함하는 거대한 산업 생태계를 완성했고, 이 구조적 강점이 한국·일본 배터리 기업이 단기간에 따라잡기 어려운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 우위를 넘어, 비용 효율성·시장 대응력·공급망 회복탄력성을 확보해야 하며, 국가 정책의 지속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배터리 출하량 Top 10 업체 중 중국업체 비중>

 


 

 

 

목차


서론 - 중국 배터리 산업의 경쟁 우위

1. 전기차 내수 수요 확대 p9

2. 정부 지원 및 산업 육성 p10

3. 기술 경쟁력 P21

4. 가격 경쟁력 P23

5. 원자재 공급망 확보 P24

 

1. CATL (宁德时代)

1.1 기업 개요 P31

1.1.1 회사 연혁 및 창립 배경

1.1.2 주요 경영진 및 조직 구조 

1.1.3 지분 구조

1.1.4 사업 분야

1.1.5 주요 자회사 현황

1.2 재무 분석 P39

1.2.1 매출액 및 영업이익 추이 (2020~2025.1H)

1.2.2 최근 분기별 실적 (2024~2025.1H)

1.2.3 재무제표 및 비용 구조 분석 

1.2.4 사업 부문별 매출 및 비중

1.2.5 지역별 매출 및 비중

1.2.6 정부 보조금 추이

1.2.7 수익성 전망

1.3 기술력 분석 P51

1.3.1 기술 로드맵

1.3.2 핵심 제품 및 기술

1.3.3 R&D 투자 현황 및 연구 인력 구성

1.3.4 CATL 배터리 핵심특허

1.4 생산 및 공급망 전략 P142

1.4.1 글로벌 생산기지

1.4.2 CAPA 추이 및 증설 계획

1.4.3 공급망 관리(SCM) 구조

1.5 시장 포지션 및 성과 P182

1.5.1 연도별 점유율 추이

1.5.2 탑재량 추이

1.6 사업 전략 및 파트너십 P186

1.6.1 수직계열화

1.6.2 OEM 제휴 및 협력 현황

CATL의 핵심 경쟁력 요약 P188

 

2. BYD (比亚迪)

2.1 기업 개요 P191

2.1.1 회사 연혁 및 창립 배경

2.1.2 주요 경영진 및 조직 구조 

2.1.3 지분구조

2.1.4 사업 분야

2.1.5 주요 자회사 현황 

2.2 재무 분석 P200

2.2.1 매출액 및 영업이익 추이 (2020~2025.1H)

2.2.2 최근 분기별 실적 (2024~2025.1H)

2.2.3 재무제표 및 비용 구조 분석

2.2.4 사업 부문별 매출 및 비중

2.2.5 지역별 매출 및 비중

2.2.6 정부 보조금 추이

2.3 기술력 분석 P211

2.3.1 기술 로드맵

2.3.2 핵심 제품 및 기술

2.3.3 R&D 투자 현황 및 연구 인력 구성

2.3.4 BYD 배터리 핵심특허

2.4 생산 및 공급망 전략 P278

2.4.1 글로벌 생산기지

2.4.2 CAPA 추이 및 증설 계획

2.4.3 공급망 관리(SCM) 구조

2.5 시장 포지션 및 성과 P313

2.5.1 연도별 점유율 추이

2.5.2 탑재량 추이

2.6 사업 전략 및 파트너십 p316

2.6.1 수직계열화

BYD의 핵심 경쟁력 요약P317


3. 한중 배터리 경쟁력 비교

3.1 중국 및 한국 전기차 시장 전망 P319

3.2 주요 배터리사 생산 CAPA 비교 P324

3.3 주요 배터리사 실적 비교 P326

3.4 한중 배터리 산업 정책 비교 P327

3.5 중국 CATL 社 vs 한국3社 요약 표 P328

3.6 시사점 P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