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What we do

We aim to provide our clients with intelligence,
future-directed information and analysis.

Report purchase request

  • Sales team
  • 070-4006-0265 / 070-4006-1507 / 070-4006-0355

  • sales@sneresearch.com

Purchase inquiry
Battery, Battery Materials

<2025> 리튬이차전지 Si-Anode 기술 현황 및 전망 (~2035)

리튬이차전지의 음극활물질은 현재까지 주로 탄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초기에는 비정질 탄소계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흑연 재료의 이론용량 한계를 극복하고 전기화학적 반응 전위 및 수명이 우수한 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Si계 음극소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음극 재료들이 적극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중대형 배터리 시장에서 고용량 음극 소재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면서 기존에 쓰이던 탄소계, 흑연계 음극재 중심에서 최근에는 특히 금속복합계인 실리콘(Si)계 음극재가 업계의 주목을 받고있으며, 이 소재를 확보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리콘 음극재를 개발하고 양산하려는 신규 진입 업체들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Si계 고용량 소재는 2020년 초에는 10~20개 업체에서만 주로 개발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120여개 이상 업체들이 개발 및 양산 준비를 하고 있다. Si계 소재는 향후 전기차의 주행거리 극복을 위한 고용량 전지개발 및 급속충전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개발되어야만 하는 소재이며, 전기차 OEM 및 배터리 업체들은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 적용을 확대하고자 한다. 
실리콘 음극재는 2035년까지 연평균 30%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전체 음극재 시장에서 실리콘 음극재의 비중은 무게기준 2019년 1%에서 2030년 4%, 2035년 6%까지 확대할 전망이다.

탄소계, 흑연계 외에 리튬 이차전지 고용량 음극 소재로 Si-C composite, Si-alloy, SiOx 가 대표적이다. 그 중 SiOx 와 Si-alloy 는 가장 상품화에 근접되어 있으며, 일부 전지 메이커에서 전지에 적용하여 고용량 전지를 개발 중에 있으나, 아직까지 수명, 부피팽창(Swelling)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실리콘(Si)계 음극 관련하여 최근 업계와 학계의 관련 기술 개발 발표가 잇따르고 있고, 음극 소재 업체들도 신규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머지 않아 상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xEV, ESS, IT용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재 시장 뿐 아니라 고용량 전지개발을 위한 Si계 음극개발 동향 및 성능향상에 대한 기술적 보고서로, 특히, Si계 고용량 음극[Si-alloy, SiOx, Si-C composite]소재 및 Pure Si 소재, Si계 음극소재용 바인더/ 집전체 기술 동향 및 복합 음극소재의 업체와 학계의 최신 개발 현황과 이를 적용한 전지의 상황 및 문제점 그리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idea를 제공함으로 향후 고용량/고출력 전지 개발에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본 보고서의 Striong Point 
① 리튬이차전지 음극재의 전체적인 시장 M/S 및 기술 현황 (흑연계, 실리콘계 포함)
② 고용량 Si계 음극소재 및 pure Si 기술 이슈 및 핵심 요소 기술 정리
③ 배터리사의 최신 Si계 음극소재의 기술 개발 동향 
④ 향후 Si계 음극소재의 응용 분야 및 상용화 전망
⑤ 글로벌 120여개의 실리콘 음극 업체 개발 현황 및 주요 제품 소개 (기술별 분류)
⑥ Si계 음극소재용 바인더/ 집전체 기술 소개
⑦ 지역별, Application별, 종류별 Si 음극재 상세 가격 동향 파악 
 



- Contents -

1. 기술 동향

Chapter Ⅰ. 리튬이차전지 개요 12
        1-1. 리튬이차전지 역사 13
        1-2. 리튬이차전지 종류 및 특징 18
        1-3. 음극재 기술 현황 및 개발 Trend 23
Chapter Ⅱ.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 종류 및  특징 35
        2-1.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 요구특성 및 종류 36
        2-2. 탄소계 음극소재 특성 39
        2-3. 금속계 음극소재 특성 62
        2-4. 화합물계 음극소재 특성 83
Chapter Ⅲ. 고용량 Si계 음극소재 기술개발 현황 93
3-1. 고용량 리튬이차전지 개발 이력 및 방향   94
3-2. 고용량 Si계 음극소재 기본 특성 102
         3-3. 합금계 음극재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118
         3-4. 고용량 Si계 음극소재 기술개발 동향 (SiOx, Si-C, Si Alloy ...) 154
         3-5  Si계 음극소재용 바인더/ 집전체 기술 239
Chapter Ⅳ. 고출력 Si계 음극소재 기술개발 현황 249
4-1. 고출력 음극재의 개요 250
         4-2. 고출력 급속충전용 음극소재 251
         4-3. 음극 관점에서 급속 충전 265
         4-4. 급속충전 복합음극소재 개발 282
Chapter Ⅴ. 차세대 실리콘 음극소재 기술 이슈 및 개발 동향 288
         5-1. SiOx 289
         5-2. Si-C 297
         5-3. Pure Si 306
         5-4. 셀 전극 디자인 설계 및 주요 특성 315
         5-5. 주요 메이저 업체  실리콘 음극 특허 출원 동향 322

2. 시장 전망

Chapter Ⅵ. 리튬이차전지 수요 전망 Outlook (’21~’35) 332
        6-1. 사용량 vs. 출하량 vs. 생산량 Outlook 333
        6-2. Application별 이차전지 사용량(Installation) Outlook 336
        6-3. Application별 이차전지 출하량(Shipment) Outlook 337
        6-4. Application별 이차전지 생산량(Production) Outlook 338
Chapter Ⅶ. 리튬이차전지 음극 소재 수요 현황 (’21~’35) 339
        7-1. Application별 음극재 수요 현황 342
        7-2. 소재별 음극재 수요 현황 343
        7-3. 지역별 음극재 수요 현황 344
        7-4. 공급업체별 음극재 수요 현황 345
        7-5  LIB 업체별 음극재 수요 현황 353
Chapter Ⅷ. 리튬이차전지 음극 소재 공급 현황 (’21~’35) 356
         8-1. 음극재 전체 Supply 현황 및 Outlook            357
         8-2. Application별 음극재 공급 현황 및 수급 전망 368
         8-3. 소재별 음극재 공급 현황 및 수급 전망 369
         8-4. 지역별 은극재 공급 현황 및 수급 전망 372
         8-5. 실리콘 음극재 수급 전망 종합  정리 373
Chapter Ⅸ.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 가격 전망 377
         9-1. 음극재 가격 구조 (NG/AG/Si계) 378
         9-2. 음극재 가격 동향 (NG/AG/Si계) 394
         9-3. 지역별, 종류별, Grade별 가격 현황 (Low / Medium / High) 397
         9-4. 음극재 업체별 가격 전망 399
Chapter Ⅹ. 실리콘 음극소재 가격 전망
      10-1. 수요공급 modeling, drivers, adoption trends, relevant macro factors 403
      10-2. 지역별  SiOx , Si-C , Pure Si 음극재 가격 전망 407
      10-3. Application별 SiOx , Si-C , Pure Si 음극재 가격 전망 409

3.  업체 현황

Chapter ⅩⅠ.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 생산업체 현황 (한국/아시아계) 411
        11-1. 실리콘계 중심 음극재 생산업체 (한국/아시아계) 411
          11-1-1. 대주 전자재료 413
          11-1-2. Shin-Etsu 418
          11-1-3. JMC (Japan Metal & Chemicals) 422
          11-1-4. Osaka Titanium 424
          11-1-5. SK얼티머스(Nexeon) 427
          11-1-6. SKMG14 (SK Materials-Group14) 430
          11-1-7. MK 전자 433
          11-1-8. 일진전기 436
          11-1-9. 한솔케미칼 440
          11-1-10. 이녹스첨단소재, 티알에스, 이녹스에코켐 443
          11-1-11. FIC신소재 446
          11-1-12. 포스코실리콘솔루션(구 테라테크노스) 449
          11-1-13.  티씨케이(TOKAI CARBON KOREA) 454
          11-1-14.  NM Tech (트루윈 인수) 457
          11-1-15.  KBG 460
          11-1-16.  Neo Battery Materials 462
          11-1-17.  한국메탈실리콘 466
          11-1-18.  이엔플러스 469
          11-1-19.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471
          11-1-20.  동진세미켐 475
          11-1-21.  SJ신소재 477
          11-1-22.  아이엘사이언스 481
          11-1-23.  에스머티리얼 485
          11-1-24.  ㈜HNS 486
          11.1.25.  와이파인텍 488
          11.1.26. 하나 머티리얼즈 490
          11.1.27. 실리칸 – 나노브릭 493
          11.1.28. 다보링크 496
11.1.29 효성첨단소재 499
          11.1.30 OCI 502
          11.1.31 카이로스 505
          11.1.32 나노제네시스 507
          11.1.33 에스앤피랩 509
          11.1.34 EG 511
          11.1.35 LPN 514
          11.1.36 그랩실 518
          11.1.37 BSG머티리얼즈 521
          11.1.38 액트로 524
          11.1.39 시리에너지 525
          11.1.40 KCC 528
          11.1.41 나노실리콘 531
          11.1.42 이비에스스퀘어 532
          11.1.43 엠지이노베이션 533
Chapter ⅩⅡ.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 생산업체 현황 (미주, 유럽계) 535
        12-1. 실리콘계 중심 음극재 생산업체 (미주, 유럽계) 536
          12-1-1. Group14 (US) 537
          12-1-2. NEXEON (UK) 542
          12-1-3. Sila Nano Technologies (US) 548
          12-1-4. Enovix (US) 553
          12-1-5. Enervate (US) 558
          12-1-6. EO Cell (US) 562
          12-1-7. Amprius Technologies 565
          12-1-8. Umicore 570
          12-1-9  One D (US) 573
          12-1-10  Nanograf (US) 577
          12-1-11  Leydenjar (Nether.) 579
          12-1-12  ADVANO (US) 582
          12-1-13  Targray (Canada) 585
          12-1-14  StoreDot(스토어닷) (Israel) 587
          12-1-15  Trion Battery (Canada) 592
          12-1-16  Black Diamond Structures 594
          12-1-17  Nanospan (US) 595
          12-1-18  Elkem (Nor) 596
          12-1-19  Neo Battery (Canada) 597
          12-1-20  Global Graphene Group (US) 603
          12.1.21  Cenate (Nor) 606
          12.1.22  SiCONA (AU) 609
          12.1.23  Alkegen (US) 613
          12.1.24  pH Matter LLC (US) 615
          12.1.25  Paraclete Energy (US) 616
          12.1.26  E-Magy (Nether) 617
          12.1.27  Ionblox (US) 619
          12.1.28  Nanomakers (Fra.) 621
12.1.29   SiLi-ion (US) 623
          12.1.30   Ionic Mineral Tech (US) 625
          12.1.31   Ionobell (US) 627
          12.1.32   The Coretec group (US) 629
          12.1.33   Enwires (Fra.) 630
          12.1.34   FARADPOWER (US) 632
          12.1.35   SilLion (US) 634
          12.1.36   Talga (AU) 636
          12.1.37   SGL Carbon SE (Ger) 637
          12.1.38   Himadri Specialty Chem (India) 638
          12.1.39   Coreshell  (코어쉘) (US) 639
          12.1.40   BASF (Ger) 642

Chapter ⅩⅢ.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 생산업체 현황 (중국계) 644
        13-1. 실리콘계 중심 음극재 생산업체 (중국계) 645
          13-1-1. BTR, 贝特瑞 646
          13-1-2. ShanShan , 上海杉杉 653
          13-1-3. Zichen (hanghai Putailai) , 江西紫宸 659
          13-1-4. Shinzoom (Hunan Zhongke Electric) , 中科星城 663
          13-1-5. Kaijin , 凯金新能源 668
          13-1-6. Shenzhen XFH  , 翔丰华 672
          13-1-7. ECH (上海洗霸) 675
          13-1-8. Dowstone (道氏技术) 679
          13-1-9  Luoyang Lianchuang (洛阳联创锂能) 682
          13-1-10  ZETO, Zhengtuo  正拓能源 684
          13-1-11  Solid (深圳索理德新材料) 686
          13-1-12  IOPSILION, Tianmu, 天目先导 688
          13-1-13  iAmetal , 北京壹金新能源 691
          13-1-14  Guibao (硅宝科技) 694
          13-1-15  Shinghwa (石大胜华) 695
          13-1-16  Gotion (国轩高科) 698
          13-1-17  Jereh, 烟台杰瑞 701
          13-1-18  Kingi, 湖南金硅 703
          13-1-19  Carbon One (碳一新能源) 707
          13-1-20  Dongdao (东岛新能源) 711
          13.1.21  HYQC (华宜清创) 713
          13.1.22  Epuno (埃普诺) 715
          13.1.23  Yuling (昱瓴新能源) 718
          13.1.24  CPS (创普斯新能源) 720
          13.1.25  Novusilicon (硅源新能) 720
          13.1.26  Changhong (长虹新材料) 720
          13.1.27  Geyuan (格源新材料) 720
          13.1.28  Zhongning Silicon (中宁硅业) 721
 13-1-29. Detubo (德图堡新材料) 721
          13-1-30. Guiying (江西江铜硅瀛新能源) 721
          13-1-31. AMT(星汉纳米) 721
          13-1-32. Boundary (邦德锐) 722
          13-1-33. Litan (立探新能源) 722
          13-1-34. Jili (积力新能源) 722
          13-1-35. Qufarui(衢发瑞新能源) 722
          13-1-36. Leina (镭纳新材) 722
          13-1-37 Jiangxin New Materials (匠芯新材料) 723
          13-1-38  Zhide Battery (致德新能源) 723
          13-1-39  Guojia (国佳(内蒙古)新材料) 723
          13-1-40  Huazhi (山西华智新材) 723